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2013. 4. 27. 01:21

'홀리 모터스'(Holy Motors) 본 것들, 들은 것들2013. 4. 27. 01:21





레오 까락스의 '홀리 모터스'는 근 몇 년간 본 영화들 중 가장 완벽에 가깝다. 플롯, 구성, 연기, 음악 모두 나무랄 데가 없다. 러닝타임이 거의 두 시간인데 쉼없이 시도되는 변화에 지루함 따위는 끼어들 새가 없다. 드니 라방은 발가락 끝까지도 온전히 배우인 인물. 미친 걸인을 연기하는데 그렇게 섹시할 수가 없었다. "자신은 배우의 발걸음을 눈여겨보는데, 홀리모터스에서의 드니 라방은 열 한가지의 서로 다른 인물을 연기하면서 각각 모두 다른 걸음걸이로 걸었다"는 누군가의 트위터 멘션을 봤는데 정확한 지적이다. 섬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는 연기. 그냥 그대로 그 인물이 되어버린 것 같은. 이런 배우를 자신의 페르소나로 쓸 수 있는 감독도, 그 감독의 페르소나가 될 수 있었던 배우도,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의 믿어지지 않을 만큼 환상적인 결과물을 감상하는 관객들 역시도, 말 그대로 황홀감을 느꼈을 대단한 작품이다. 


소소한 감상들: 드니 라방은 체구는 작은데 자기만한 여자들을 번쩍번쩍 잘도 들쳐매더라. 그 문제의 심의장면은 잘 이해가 안 됨. 섹스를 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성기노출일 뿐인데. 오히려 그 장면보다 모션캡쳐 씬이 훨씬 야했다. 한국의 대중매체심의위원회라는 것들은 정말 또라이집단같다. 칼리 미노그가 갑자기 뮤지컬조로 노래할 때 약간 식겁. Let my baby ride는 수십번을 봤지만 여전히 좋았고, 오히려 큰 스크린으로 보니 더욱 좋았다. 나 혼자 콘서트모드로 들썩들썩거림. 연주 중간에 드니 라방이 프랑스어로 뭐라고 소리치는 장면이 있는데, 프랑스어를 마드모아젤이랑 무슈밖에 모르는 나는 '1, 2, 3!'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3, 12, 이런!' 뭐 그런 거여서 내 무식에 스스로 놀랐다. 


누구 이 영화 보러 가겠다는 사람 있으면 꼽사리껴서 또 보러 가고 싶다.ㅎㅎ 


'본 것들, 들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잼 시이나 링고 특집  (1) 2019.11.19
星野源_恋  (0) 2017.08.08
위댄스 in 홍대 상상마당 '이야기해주세요'  (1) 2013.04.06
지슬  (0) 2013.03.31
Bump of Chicken- ホリデイ  (2) 2013.03.21
:
Posted by 카뮈카뮈
2013. 4. 24. 18:54

자본주의와 문화 읽은 것들2013. 4. 24. 18:54


실컷 썼는데 다 날아갔다. 아 짜증. 간단히 요점만. 19세기 미국에서 노동계급의 스포츠이자 계급적 남성성을 표상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던 복싱은 중간계급으로 편입되어 원래의 의미가 변형. 그러나 노동계급의 문화가 복싱을 통해 중간계급으로 흘러들어가 계속적인 계급적/문화적 충돌을 야기한 것은 그것의 반작용. 문화는 언제나 쌍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선생님의 요지. 그러나 이걸 자본주의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윤창출의 수단으로서의 복싱은 자신의 새로운 소비자로서 중간계급을 포섭하여, 계급적 구분을 흐리고 자신의 시장을 확장시키는데 성공. 계급이건 젠더건 피터지게 싸우는 동안 자본주의는 그 모든 것을 비웃으며 자신의 이익을 조용히 챙겨갈 뿐이다. 어제 가분씨가 트윗한, "자본주의 자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안이 아니라면, 어디서 동물이 학대당하든, 아프리카 어린이들이 굶어죽든, 플랜테이션 농장 노동자들이 혹사당하든, 이 모든 문제에 대해 냉정한 무관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젝의 주장이 다시 생각나는 이유다. 


'읽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미국사 시간에 들은 것들  (0) 2013.05.10
the resonant strings of remembering  (0) 2013.04.30
존재의 완성태  (0) 2013.04.14
교환양식 A와 D에 대하여  (0) 2013.04.11
까먹기 전에  (0) 2013.04.10
:
Posted by 카뮈카뮈
2013. 4. 23. 23:45

4월 23일 일상2013. 4. 23. 23:45


내가 생각하는 진리라는 게 있다면, 그건 감정만 가지고는 그 무엇도 할 수 없다는 것일 거다. 그게 연애든 공부든 정치든 혁명이든 마찬가지다. 연애의 경우로 한정하자면, 나는 3년 동안 나 자신을 수만번 죽이고 나서야 그 진리를 체화할 수 있었다. 타인에게 이것을 입 밖에 내어 말할 때 나는 내 가장 내밀한 치부를 공개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아픔과 두려움과 모멸감을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하는 이유는 내 경험을 전달함으로써 그것을 듣는 사람이 내가 겪었던 것보다 조금이라도 덜한 고통을 겪길 바라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어떠한 종류의 우월감이나 선생질의 욕구도 없다. 나에게 있어 몇 안 되는 순수한 이타적 배려다. 그것은 내 고통이 그만큼 진실된 것이었기에 가능한 이타성이다. 하지만 결국은 경험하지 않고는 알 수 없을 것이다. 그것 또한 진리일 것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츤데레적 기질에 대한 고찰  (0) 2013.04.29
4월 27일  (0) 2013.04.27
그냥  (0) 2013.04.23
it's blessing  (0) 2013.04.21
4월 18일  (0) 2013.04.18
:
Posted by 카뮈카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