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이 방송 포스팅을 해야지 해야지 맘은 있었는데 지금에서야 쓴다. 아리요시 단독조명받는 토크방송이 오랜만이라 보기 전부터 기대했었다. 솔직히 브라마요와는 좀 안 친한 게 티가 나서 좋은 카라미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지 입으로 지가 귀엽다는 자뻑발언부터(뭐 내 눈엔 당연히 귀엽지만) 자기는 브라마요 칭찬해줬는데 브라마요가 자기 칭찬안해준다고 삐져서 뒤돌아앉는 츤데레까지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좋았다. 팬한테는 좋은 방송이었음. 게닌으로서의 프라이드를 드러내는 모습도 좋았고. 

근데 그런 것보다 의외로 가장 기억에 남는 발언은 "역시 돈 말고는 안정이 없는 것 같다"는 말. 요즘 들어 부쩍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안정의 이유를 금전적인 면과 (고의적으로) 떼놓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짜증을 참을 수가 없게 된 나는 이 말을 듣고 끄덕끄덕. 나체로 금을 끌어안고 있던 맥티그의 트리나는 물론 싸이코지만, 지금은 그런 것 따위보다 그녀 품 속의 금이 부러울 뿐이다. 정말이지 그렇게도 재미없던 게닌이었던 아리요시가 7년간의 지옥같은 방황의 시간을 지나 지금처럼 될 수 있었던 동력은 다른 이유가 아니라 오직 굶지 않기 위해서였을거다. 모든 것의 이면에는 먹고 사는 문제가 있다. 다른 건 다 허울 좋은 거짓말일 뿐이다.

:
Posted by 카뮈카뮈
2012. 1. 11. 14:30

셜록 두번째 바스커빌편 본 것들, 들은 것들2012. 1. 11. 14:30


어제 보자마자 썼어야 되는데 귀찮아서 걍 자고 오늘 쓴다. 나중에 사진올리기 내용보충 등등을 수정할지는 모르겠다. 아마 안할거다. 영문학 하는 애가 할 말은 아니지만 한 번 쓴 거 revising하는 게 세상에서 제일 귀찮다.

암튼 요즘 내가 접하는 모든 것을 통틀어서 가장 재밌는 볼거리인 건 확실하다. 미치도록 재밌다. 혼자 소리내서 깔깔 웃게 할 정도로. 홈즈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도 물론 재밌게 보겠지만, 원작을 읽은 이들에게 이 시리즈가 주는 즐거움은 그 몇 배로 대단하다. 단순히 원작을 충실히 옮긴다든지 하는 수준이 아니라, 오히려 그 사전지식을 이용해서 시청자의 기대와 추측을 적절히 가지고 논다. 이 정도 솜씨는 돼야 21세기에 셜록 홈즈를 만지작거릴 자격이 있는 걸거다. 가이 리치 따위는 꺼져라.


 

:
Posted by 카뮈카뮈
2012. 1. 8. 00:41

SHERLOCK!!!! (스포있음) 본 것들, 들은 것들2012. 1. 8. 00:41




1년여의 공백기를 끝내고 드디어 셜록이 시즌 2로 돌아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대를 저버리지 않은 퀄리티였다. 첫 편부터 아이린 애들러를 집어넣은 건 여러 가지 의미로 자극적이었고, 캐릭터 설정도 역할도 모두 지나치지 않은 각색이었다고 본다. (SM여왕 설정은 솔직히 조금 놀라긴 했지만, 원작에서 애들러가 차지하는 무게와 이미지를 고려한다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였다.) 애들러 역할을 맡은 배우가 누군지는 잘 모르겠지만, 원작에서의 섹시하고 명석한 애들러의 이미지와 잘 어울렸다. 화장은 안 하는 편이 훨씬 이쁘더라.

I'm SHERLOCKED의 트릭을 보면서 최근에 유행했던 '밀어서 잠금해제' 열풍이 생각났다. 사실 좀 유치한 부분이 없잖아 있었지만 뭐 걍 그런대로 무리는 없었음. 전체 스토리라인과도 잘 이어지고. 

셜로키언들이 약간 옥신각신하고 있는 듯한 마지막의 "RUN!" 장면은 원작에서의 홈즈의 이미지와는 물론 잘 맞지 않는 부분이지만, 지극히 이 드라마다운 각색이라고 생각한다. 어찌됐든 이 드라마의 초점은 '인간 홈즈'를 그려내는 데 있고, 어릴 적 해적이 되고 싶어했다는 홈즈의 숨겨진 휴머니티를 색다른 방식으로 살짝 보여줬다고 받아들이면 될 듯.

일주일에 한 번씩 나오는 거 같은데 진짜 완전 기다려진다. 새로운 즐거움이 될 듯.


p.s. 이건 걍 잡설인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인녀들을 끌어들이는 설정을 사용하는 건 다를 게 없다 싶다. 근데 만약에 작가가 진정 그 점에 포인트를 뒀다면 모리어티 역할의 배우 캐스팅에 더 신경썼어야 했다!ㅋㅋ

:
Posted by 카뮈카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