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며칠새 셜록에 너무 빠져있어서 그런지, 너무 많이 봐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이번 편은 좀 흥미가 떨어졌다. 기대치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내 멋대로 치솟아왔긴 했다. 해결된 게 없이 끝났다는 점이나, 각본을 모팻/개티스가 아닌 스티브 톰슨이 쓴 것과 관계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어떤 사건이나 미스터리의 원인이 모두 주인공 내면에 있었고 전부 주인공 머릿속에서 만들어낸 거라는 플롯은 이제 지겹다. 물론 그건 사실이 아니었고, 셜록은 절대 그런 식으로 다뤄질 캐릭터가 아닌 점도 이미 알고 있었지만.

모리어티가 왈츠에 맞춰 진열장 유리를 깨고 crown jewels를 손에 넣는 장면의 표현기법은 아주 인상적이었다. 근데 기억에 남는 건 그 정도랄까. 성 바솔로뮤 병원 옥상에서의 홈즈와 모리어티의 대결 씬은 원작의 라이첸바흐 폭포에서의 것보다 긴장감이 떨어졌다. 사실 이 드라마에서의 모리어티의 존재감이라는 게 원작보다 적어진 게 근본적인 문제라면 문제겠다. 모팻의 모리어티는 경박하고, 가볍고, (홈즈에 대해서) 너무나도 열성적이다. (덧붙여 이런 인물이 게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또다른 점에서 문제다.) 별로 거물이라는 느낌이 안 들고 잔챙이 범죄자같다. 무게가 없다. 홈즈를 지나치게 의식한 나머지 너무도 열성적으로 평범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싶어하는 그 어떤 종류의 '지나친' 느낌이 그를 원작의 모리어티와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인물로 느끼게끔 한다. 원작을 그대로 복사하라는 말이 아니다. 모리어티를 그런 인물로 재창조해낸 의도가 뭔지도 확실히 알겠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인물이 만들어내는 긴장감의 정도가 원작보다 못하다는 거다. 이 정도까지 셜록 홈즈를 매만져낼 수 있는 솜씨라면, 최소한 원작의 긴장감을 떨어뜨리지는 말아야 한다.

시즌 3이 언제 나오게 될 지는 모르겠지만 첫번째 편이 기대된다. 원작에서도 홈즈가 귀환하는 이 편을 가장 사랑했었다. 맘놓고 기다리고 있어야겠다. 그것보다 마틴 프리먼이 빌보로 나오는 게 더 빠를지도 모르지만. 이 소식 보고 진짜 기뻤다. 이 귀여운 왓슨은 정말 빌보 역할에 잘 어울릴 거다. 이 사람은 뭔가 정말로 호빗같이 생겼다. ㅋㅋㅋㅋㅋ


p.s 다시 한 번 보고 깨달은 게 있다. 모리어티가 셜록한테 '나 너한테 빚졌어'(I owe you)라는 말을 반복해서 하는 게 이상하다 이상하다 생각했는데, 나중에 왓슨이 셜록 무덤 앞에서 I was so alone, and I owe you so much라고 말하는 걸 보고 뭔가 관계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싶다. 왓슨과 함께 있는 셜록을 부러워했던 모리어티는 그냥 외로운 인간이었다, 고 작가는 말하고 싶었을지도. 그거 자체가 좀 시시하긴 하지만.

'본 것들, 들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랭 드 보통, '우리는 사랑일까'  (0) 2012.01.23
The Mentalist  (1) 2012.01.21
셜록 다시 정주행  (0) 2012.01.14
셜록 두번째 바스커빌편  (0) 2012.01.11
SHERLOCK!!!! (스포있음)  (0) 2012.01.08
:
Posted by 카뮈카뮈
2012. 1. 14. 04:54

늦은 밤에 2 일상2012. 1. 14. 04:54


겨우 초저녁부터 잠들었다 싶더니 한시에 깨버렸다. 깨기 전에 아리요시 꿈을 꾸고 있었던 건 기억난다. 잠들기 직전까지 오와라이를 틀어놓기 때문에 오와라이 꿈을 자주 꾸는 편인데 오늘은 운좋게 아리요시였다. 뭔가 거실의 소파에 앉아서 티비보면서 술마시면서 두근두근하는 좋은 분위기였는데 잠이 깨버렸다. 아 아깝다. 이런 꿈이라면 평생 깨지 않고 꿈만 꿔도 좋겠다. 현실에서 눈뜨는 것보다 좋은 꿈 실컷 꾸는 편이 낫다. 잠이 깨버린 김에 그동안 셜록 보느라 약간 밀렸던 오와라이 영상들을 봤는데 시덥잖아서 다 지워버렸다. 며칠간 게으름에 미뤄뒀던 포스팅 몇 개 하니 어느새 다섯시가 다 돼 간다. 내일 과외를 열두시로 잡길 잘했지. 아무래도 던힐 파인컷은 몸에 잘 안 맞는 것 같다. 피로가 너무 두드러진다. 슬림한 게 편해졌는데 다시 굵은 걸로 돌아가려니 좀 내키진 않지만 이것저것 함 봐야겠다. 몇 달간 하도 부석사 부석사 노래를 불렀더니 엄마가 친척 결혼식 가는 김에 데려다줄까 해서 망설이고 있었는데 이젠 귀차니즘의 고민 없이 갈 수 있을 것 같다. 오랫동안 행복하게 살고 싶다. 그뿐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윷놀이의 추억  (0) 2012.01.23
연휴동안  (0) 2012.01.21
오늘밤  (0) 2012.01.20
늦은 밤에  (0) 2012.01.05
연습용  (0) 2011.12.31
:
Posted by 카뮈카뮈
2012. 1. 14. 04:36

셜록 다시 정주행 본 것들, 들은 것들2012. 1. 14. 04:36


어젯밤 뭔가의 반작용으로 셜록을 시즌 1부터 다시 정주행했다. 정주행이래봤자 시즌 하나에 세 편밖에 없긴 하지만. 보면서 느낀 의문 첫번째는 왜 모리어티를 굳이 게이로 설정했는가다. 그렇잖아도 이미 홈즈와 왓슨의 관계에서 고의적으로 수상한 냄새가 풀풀 풍기는데. 나중에 모리어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부분에 이르게 되면 작가의 의도가 좀 더 분명해질거라 본다. 부디 지나치게 유치해지지 않기만 바랄 뿐.

벨그라비아를 다시 보면서 느낀 건, (셜록의 경우) 생명의 위기에서 사람을 구하려면 동정심이 없어야 한다는 기묘한 명제다. 예전에 법 쪽에 있는 내 친구가 그런 비슷한 말을 했었고 문학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사회를 바꾸겠다는 정의감을 가지고 법대에 입학한 인간이든(이건 90프로 이상이 거짓말이겠지만), 책이 너무 좋아서 문학을 하겠다고 뛰어든 인간이든간에 전부 처음 먹었던 그 뜨거운 마음이 사그라들고 자기가 하고 있는 짓에 점차 질리게 되어 있다. 심지어 그런 무감정한 눈이 없으면 그 짓을 제대로 할 수 없기까지 하다. 나는 셜록에 대해 비평할 수 없는데, 그건 내 눈에는 이미 셜록의 단점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아도르노인지 암튼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누군지가 문화비평을 하려면 나 자신의 반은 그 문화 속에, 나머지 반은 그 밖에 있어야 한다는 류의 말을 했던 거 같은데 다 비슷한 얘기다. 뭐 생각해보면 굳이 직업뿐만 아니라 사람 대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책이든 사람이든 그것의 단점이 보이고 그것마저 사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사랑이라는데, 지금의 나는 일정한 거리두기 없이 그럴 수 있다고 말하는 건 다 거짓말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그건 사랑이 아니라 그저 관용일 뿐이다.  
   
:
Posted by 카뮈카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