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2012. 12. 3. 17:21

2012년 12월 3일 일상2012. 12. 3. 17:21


와 삼재는 진심 무섭다. 생전 겪어보지도 못했던 일들이 차례차례 지치지도 않고 다가오는 한 해다. 나가는 삼재는 생일 지나면 괜찮다고 해서 마음놓고 있었더니 끝까지 얌전히는 보내주지 않는다. 나도 참 지독하게 둔하지. 거의 1년 전부터 이상하다 이상하다 생각만 했지, 뱃속의 몬스터가 이만큼 자랄 때까지 그냥 놔뒀으니. (설마 몇 주 전 꿨던, 애 낳아 키우는 꿈은 이걸 가리키는 거였을까?) 인터넷을 뒤져보니 물혹은 보통이라면 많이 해롭지 않지만 이 정도 사이즈의 것은 터지면 죽는단다. 물론 누군가 악의적으로 내 오른쪽 신장을 정확히 걷어차지 않는 이상, 이걸로 절대 죽지 않는다는 건 안다. 근데 나를 사랑하는 우리 엄마는 이것만 생각하면 잠도 잘 안 온다는데, 난 정말 무섭지도 않고 죽는 게 두렵지도 않다. 심지어 죽기를 약간은 바라고 있을 정도다. 내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하는 건 무섭지만 타의적으로 죽는 거라면 별로 아무렇지도 않다. 정말이지 지독한 수동성이다.


아무튼간에 안 죽는 이상, 앞으로의 일정에 어떤 식으로 변화가 올 지 모르니 기말페이퍼도 어플라이도 빨리빨리 처리해두자. 


+


아메아가리 미야사코가 초기 위암치료로 쉰단다. 아메토크가 게스트MC 체제로 진행된다면 아리요시가 한 회 정도는 들어갔으면 싶다. 아메토크와는 오랜 카라미에, 포멀하게 진행도 잘하고, 호토짱 이지리도 적당히 해 줄거고. 한 트친님은 아리요시가 호토짱을 '토할 때까지' 괴롭힐 거라서 츠치다가 낫지 않을까 하고 말씀하셨는데, 그 트윗 보자마자 더 미친듯이 아리쨩의 MC가 보고싶어졌다.ㅋㅋㅋ 


+


가끔 트위터에 아리요시 검색해보는데, 어떤 트윗에 아리요시 트윗프로필 사진이 너무 더러우니 바꿔줬으면 좋겠다는 내용이 있더라. (내가 화낼 권리는 없지만) 약간 화가 났다. 본인 트윗 사진을 뭘로 하든 본인 자유지 너님이 뭐라고 바꾸라마라 하냐. 계정 대충 살펴보니 나름 팬인 것 같던데, 대체 그 사람이 뭘 보고 아리요시를 좋아하는지 잘 이해가 안된다. 아리쨩에게서 변태성을 빼면 뭐가 남지? 수 년동안 한국 정치를 지켜본 경험과 5년의 대학원 생활과 3년의 지독한 연애가 내게 남겨준 것은 그 누구도 신격화/아이돌화하지 않아야 한다는 명제다. 그 자신에 대해 조롱섞인 탈신격화를 서슴치 않고 그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점은 내가 아리요시를 좋아하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0) 2013.01.07
2012년을 보내며  (0) 2012.12.27
2012년 11월 19일에서 20일로 넘어가는 밤  (0) 2012.11.20
2012년 11월 7일  (0) 2012.11.07
  (0) 2012.10.29
:
Posted by 카뮈카뮈
2012. 11. 20. 01:56

2012년 11월 19일에서 20일로 넘어가는 밤 일상2012. 11. 20. 01:56


그러고 보니 어제 새벽 다섯시에 깨서 양손가락 따고 혼자 등두들기고 난리를 치고 다시 잠들었더니 꿈을 꿨었다. 나한테 애가 있었다. 갓난아기였다. 애 아빠는 등장하지 않았다. 딱히 생각도 하지 않았던 걸 보면 존재 자체가 없었나보다. 나는 엄마랑 애랑 셋이서 살았는데, 내가 학교에 가야 할 때면 엄마가 애기를 봐주셨다. 엄마한테 애 때문에 공부하기가 힘들다고 불평했다. 애가 아파서 약을 사야 했는데 동네 약국들이 모두 문을 닫아서 온 동네를 헤맸다. 절망적인 기분으로 눈을 떴다. 애 엄마가 되는 꿈은 처음이었는데, 의외로 조금 끔찍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을 보내며  (0) 2012.12.27
2012년 12월 3일  (0) 2012.12.03
2012년 11월 7일  (0) 2012.11.07
  (0) 2012.10.29
2012년 7월 31일  (0) 2012.08.01
:
Posted by 카뮈카뮈
2012. 11. 20. 01:08

IPPON 그랑프리 2012.11.17 お笑い2012. 11. 20. 01:08




역시 나는 이 방송 자체가 너무 좋다. 아리쨩이 안 나와서 어떨까 했는데 여전히 매력적인 방송이었다. 이번 회의 포인트는 역시 모츄. 바카리즘이 어떤 일정한 사고체계 안에서 잘 다듬어진 오오기리를 하는 스타일이라면, 모츄의 오오기리는 아예 그 시스템 자체를 쥐고 흔드는 종류의 것들이었다. 덕분에 잇폰은 많이 못 받았지만 뭐 이쯤 되면 점수가 중요하지 않아보인다. 그랑프리를 보고 나서 스카우트를 봤는데, 모츄가 마지막에 너무 기뻐해줘서 나도 울컥했다. 오와라이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갈까 생각했는데 마지막으로 온 힘을 다해보고 싶다고 눈물 그렁거리면서 도게자한 채로 몇 번이고 감사하다고, 뭐든 하겠다고 말하는 이 영원한 중학생. 지난 방송분 보면서 시뮬레이션하며 연습하는 모습을 보면서 또 감동. 현장의 공기를 뒤흔드는 답들을 내놓고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그저 행복한 표정을 하고 있었다. 실제든 픽션이든 한 인물한테 감동받은 건 참 오랜만이다. 앞으로도 포기하지 않고 자신만의 오와라이를 계속해 줬으면. 


절대로 무너지지 않을 것 같던 바카리즘의 절대권위를 제치고, 이번 회엔 일종의 세대교체가 잘 이뤄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로버트 아키야마가 우승했는데 갠적으론 마타요시가 더 나았다. 유난히 아키야마 답들이 잘 이해가 안 되긴 했는데, 그거 감안하더라도 그 특유의 캐릭터 이입해서 말하는 연극적인 방식이 좀 메리트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 뭐 그것도 능력이라고 하면 할 말은 없지만. 호리켄도 좋았는데 뒷심이 좀 부족했고. 바카리즘은 이번엔 어째서인지 영 아니었던 듯.


실시간으로 트위터에 올라오는 아리쨩의 감상과 함께 본방사수하는 건 또 다른 새로운 경험이었다. 통신기술의 발달이란 정말이지 대단하다. 어제 SND에서는 역시 지가 없으니까 흥미진진하지가 않았다고.ㅡㅡ 그러면 방송에 나오시라고요...


볼 때마다 생각하는 거지만 방송국에서 오와라이 방송에 이렇게 돈 많이 쓰고 힘 많이 넣어준다는 게 참 부럽다. 덕분에 이런 섹시한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어 그저 감사할 따름. 눈부신 세트 위에서 포멀한 수트 차림으로 얼굴 벌개져가며 땀흘려가며 본인들이 가진 모든 것을 최대한 발휘하려 분투하는 게닌들의 모습. 나한테는 어떤 AV보다도 이 방송이 섹시하다.


'お笑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한도전  (0) 2012.02.17
2011년도 가키츠카 웃으면 안되는 공항 편  (0) 2012.01.03
2011년 6월 9일, 자키야마 감자소주  (0) 2011.12.31
:
Posted by 카뮈카뮈